미세플라스틱, 성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 플라스틱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 성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본문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인체 생식기관에 침투하고, 성기능과 생식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자 수 감소, 발기부전, 호르몬 교란 등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연이어 발표되며 주목을 받고 있어 몇가지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1. 음경 조직에서 미세플라스틱 발견

2024,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란지스 라마사미 박사 연구팀은 발기부전 치료를 받은 남성 5명의 음경 조직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5명 중 4명에게서 7종류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으대표적으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PP(폴리프로필렌)가 포함돼 있었습니다.

크기는 최대 0.5mm에서 0.002mm까지 다양했습니다.


992f16873e82d9e46737e6abb3a0890a_1749543312_9434.jpg


연구팀은 음경의 평활근 조직은 혈관이 풍부하여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평활근 기능을 방해해 발기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https://www.newstree.kr/newsView/ntr202406190012?utm_source=chatgpt.com)

 

 

2. 인간 고환 조직에서의 미세플라스틱 검출

2024년 독성학 연구 저널(Toxicological Sciences)에 실린 내용을 보면성인 남성 23명과 개 47마리의 고환 조직을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검출 되었으며, 특히 인간 고환에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존재 했다. 

12종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으며, PE(폴리에틸렌)PVC(폴리염화비닐)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특히 개의 경우, 고환 내 PVC 함량이 많을수록 정자 수와 고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인간에게도 유사한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3090964883?utm_source=chatgpt.com)

992f16873e82d9e46737e6abb3a0890a_1749544460_7455.jpg
 

 

3. 정액과 소변에서의 미세플라스틱 검출

중국을 포함한 다국적 연구팀은 남성의 정액 및 소변 샘플을 분석해 PS(폴리스티렌), PVC, PTFE(테프론) 8종의 미세플라스틱을 검출했습니다. 특히 PTFE 노출이 많은 참가자는 정자 수 및 운동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노출된 미세플라스틱 종류가 많을수록 생식 지표가 더 나빠지는 용량-반응 관계를 보였습니다.

(https://www.news-medical.net/news/20241001/Study-finds-microplastics-in-semen-and-urine-linking-PTFE-exposure-to-lower-sperm-count.aspx?utm_source=chatgpt.com)

 



4. 동물 실험을 통한 생식 저해 확인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장기간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경우 정자 수 감소, 정자 운동성 저하, 고환 구조 변화, 테스토스테론 감소 등의 현상이 관찰되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 노출 쥐에게 발기부전 증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https://v.daum.net/v/20250302203030077?f=p&utm_source=chatgpt.com)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7651324006274?utm_source=chatgpt.com)



5. 인간 난소 난포액에서 미세플라스틱 최초 발견

이탈리아 살레르노 대학교 생식의학연구소는 시험관 시술(IVF) 을 받은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난소 여포액(ovarian follicular fluid, 난자 주변을 둘러싼 액체)을 채취하여, 14명의 여포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은 난자의 성숙이나 지연, 수정률 저하, 착상 싶패의 가능성을 높이고, 난포 내 호르몬 균형을 교란 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는 여성 생식 건강에 대한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위험성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며, 추가 역학연구와 대규모 임상 연구가 시급하다고 밝혔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7651325002040)

992f16873e82d9e46737e6abb3a0890a_1749543937_1084.jpg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몸 뿐만아니라, 우리의 미래에도 이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당장 없애기는 어렵겠지만, 줄일 수는 있을 것 입니다.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기 입니다.



992f16873e82d9e46737e6abb3a0890a_1749544936_7089.png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아시아 친환경자원 협회. All rights reserved.